전체 글41 [자기계발서] 롭 무어 - 레버리지 레버리지 할 것인가, 레버리지 당할 것인가? 나의 생각 레버리지 하는 쪽은 부자들이고, 레버리지 당하는 쪽은 나머지 노동자 계층이다.우리의 삶은 둘 중 한 가지다. 자본주의의 틀을 깨지 않는 이상, 우리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이렇게만 생각하면 마르크스의 혁명적 사상이 가슴 속에서 불타오른다. 우리 노동자들이 다 들고 일어서자는 말인가? 그건 아니다. 우선 레버리지란 무엇인가?레버리지에 대한 나의 첫인상은 다음과 같다. "다른 사람의 것(자산, 노동력, 지식 등)을 이용하여, 나의 이득을 취하는 것."그렇다면 이분법적으로 생각했을 때, 레버리지 당하는 쪽은 억울하고, 레버리지하는 쪽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 하지만 책을 다 읽고나서 생각이 바뀌었다.레버리지는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 하고.. 2025. 7. 14. [자기계발서] 브라이언 페이지 - 소득혁명 패시브프러너가 되어라. *패시브프러너(passivepreneur) : '자동 소득(passive income)'과 '무언가를 추구하는 사람(preneur)'의 합성어. 자동 소득 자산으로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사람을 뜻한다. 책에서 얻을 Insight부업이 아니라 자동 소득원을 가져라(패시브프러너가 되어라). 현금흐름이 중요하다.자동 소득원은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 소득은 늘어나고, 노동시간은 줄어드는 방향으로.새로운 길을 개척하기보다, 성공한 사람의 길을 따라가라. 세상에 돈은 넘쳐나지만, 시간은 부족하다. 최대한 빨리 부자가 돼라.스쳐가는 나의 생각 돈 때문에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며 인생 대부분을 보내는 우리의 삶이 축사에서 길러지는 돼지와 다를 바가 무엇인가? 짜여진 시스템 속에서 지배자의 이익.. 2025. 7. 13. [글쓰기 책] 미야자키 나오토 - 더 많은 사람이 읽게 만드는 글쓰기 기술 글쓰기의 핵심은 독자 중심적 사고방식이다. 이 책에서 얻은 Insight1. 독자 중심적 사고방식 : 읽고 싶게 만드는 글을 써라.2. 무조건 짧게 쓴다.3. 전달 내용은 핵심 3가지만 최근 읽은 책 중 가장 재미있게 읽었다. 표지만 봤을 땐 흰색 바탕에 검은색 제목만 적혀 있어서 굉장히 재미없을 것 같았다. 깨알 같은 글씨가 빼곡히 적혀있을 것 같은 첫인상이었다.하지만 겉과 달리 내용은 정반대였다. 내용의 짜임새가 좋았고, 문장은 읽기 쉬웠고, 강조하는 내용은 하이라이트되어 있다. 전달력이 좋고, 흡입력 있고, 분량도 200쪽이 안 될 정도로 압축적이어서, 하루 만에 읽었다. 내용이 아주 흥미롭고 인상적이었다.나는 일명 '효율충'이다. 뭐든 극도의 효율을 추구한다. 같은 맥락으로 글쓰기도 효율적이어야.. 2025. 7. 11. [글쓰기 말하기 책] 김대근 - 먹히는 글쓰기 끌리는 말하기 최근에 나는 일명 '애드고시'라고 불리는 애드센스 승인에 5번이나 낙방해서 상심에 빠져있다. 낙방 원인은 '가치가 별로 없는 콘텐츠'라는 이유였다. 그래서 글을 잘 쓰고 싶다는 욕망이 생겼다. 마침 콘텐츠도 다 떨어져서 당분간은 블로그 글 작성을 잠시 쉬고, 어떻게 글을 써야 될지 공부해보려 한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며 글쓰기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글쓰기는 '나'라는 콘텐츠를 표현하는 것이다. 제1부의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글쓰기는 곧 퍼스널 브랜딩이다. 따라서 가치 있는 컨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나를 알아야 한다. 이 책의 아쉬운 점은 작가의 직업적인 부분에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기사를 쓰는 기자로서의 글쓰기와, 생방송 뉴스를.. 2025. 7. 10. [요약] 존 듀이의 생애와 사상 생애 존 듀이는 1859년 미국 버몬트주 벌링턴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지적 능력을 보였다. 15세의 나이에 버몬트 대학교에 입학하여 칸트의 사상에 흥미를 느꼈고, 이를 계기로 철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졌다. 듀이의 아버지는 상인이었지만, 듀이는 아버지의 기대와 달리 상업적 경로가 아닌 학문적 길을 선택했다. 대학 졸업 후 오일 시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2년간 근무한 후, 1882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며 학문을 이어갔다.1884년, 듀이는 『칸트의 심리학』이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시카고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교육학과 철학을 연구했다. 특히 이 대학에서 실험학교를 운영하며 자신의 철학적 이론을 실천적으로 구현했다. 이후 미시간 대학, 미.. 2025. 6. 26. [요약] 하버마스의 생애와 사상 생애 위르겐 하버마스는 1929년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구순구개열이라는 선천적인 장애를 지니고 있었으나, 이를 극복하며 학문에 대한 깊은 열정을 가지고 자라났다. 하버마스는 학창 시절부터 뛰어난 학문적 재능을 보였으며, 괴팅겐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기 시작했다. 이후 취리히 대학교와 본 대학교로 학문적 여정을 이어갔고, 1954년에는 박사학위를 취득하며 본격적으로 철학과 사회이론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하버마스의 학문적 여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은 1950년대 중반,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있는 사회연구소에 조교로 입소하면서 비판 이론에 접하게 된 것이다. 이 시기 하버마스는 비판 이론의 선구자 아도르노의 조교로 근무하며 사회와 문화의 관계를 분석하는 비판적 사고를 발전시켰다. 19.. 2025. 6. 25.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