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제
시대를 초월한 절대적인 지침은 없다. 시장은 변하고 세계는 변한다. 변화에 맞는 대응이 필요하다.
볼린저 밴드 기법과 툴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볼린저 밴드 기법은 주가, 거래량, 변동성을 본다. 여러 지표와 함께 봐야 하지만 핵심은 변동성이다.
주가는 사이클을 보이지 않지만, 변동성은 사이클을 보인다. 높은 변동성은 낮은 변동성을 낳고, 낮은 변동성은 높은 변동성을 낳는다.
수식
볼린저 밴드 중간선 : 20일 이동평균선
상단, 하단 : 중간선 ± (20일 변동성의 표준편차)x2
%b : 밴드 내에서 주가의 상대적인 위치. 1.0은 상단, 0.5는 중간, 0은 하단이다. 매수, 매도 신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밴드폭 : (상단-하단) ÷ 중간. 스퀴즈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b 활용법
(거래량)지표를 이용해서 밴드 태그를 확증하라.
1. 밴드를 태그하고, 지표도 같은 방향으로 확증되면 추세가 이어진다.(밴드 타기) → 매매기법 Ⅱ 추세 추종
2. 밴드를 태그하고, 지표가 반대 방향으로 비확증되면 평균회귀한다. → 매매기법 Ⅲ 반전
밴드폭 활용법
1. 스퀴즈 (낮은 변동성=낮은 밴드폭) 후 밴드폭이 급격히 확장되면 추세가 시작된다. → 매매기법 Ⅰ 변동성 돌파
이때 추세의 방향(상승/하락)은 주가의 움직임, 지표, 뉴스에서 힌트를 얻는다.
단, 헤드 페이크만 조심하자. 추세의 방향을 알려주는 듯 속이다가 갑자기 방향을 꺾는다. 이에 대처하려면 주가 움직임이 충분히 성숙해서 추세가 확실히 자리를 잡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2. 추세의 반대밴드(상승 추세의 경우 하단밴드)가 평평해지거나 꺾이는 점이 추세의 끝이다.
볼린저 밴드를 활용한 매매기법
매매기법 Ⅰ : 변동성 돌파
추세의 시작에 배팅한다.
스퀴즈 후, 종가가 밴드를 돌파하는 지점이 트레이딩 신호다.
- 밴드폭이 좁고, 상단 밴드를 돌파하면 상승 추세를 기대한다.
- 밴드폭이 좁고, 하단 밴드를 돌파하면 하락 추세를 기대한다.
단, 헤드 페이크를 조심하자.
거래량 지표(일중강도Ⅱ, AD, MFI, VW MACD)로 주가의 움직임을 확증한다.
매매기법 Ⅱ : 추세 추종
추세의 중간에 배팅한다. (밴드 타기)
상승추세, 즉 %b>0.8 & MFI>80 일 때 매수한다.
하락추세, 즉 %b<0.2 & MFI<20 일 때 매도한다.
수식 산출기간의 경우, 볼린저 밴드는 20일, MFI는 10일로 한다.
(찾다 보니 알게 됐는데 거래량이 폭증하는 날은 대부분 양봉이다.)
매매기법 Ⅲ : 반전
추세의 마지막(새로운 추세의 시작)에 배팅한다.
하단 밴드 태그와 긍정적 지표를 보일 때 매수한다. (상승 전환의 신호)
상승 밴드 태그와 부정적 지표를 보일 때 매도한다. (하락 전환의 신호)
→ 주가와 지표가 반대되는 경우를 못 봤다. 대부분은 주가가 상승할 때는 지표도 긍정적이고, 주가가 하락할 때는 지표도 부정적이다. 아직 공부가 더 필요한 것 같다.
'책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계발서] 이즈미 마사토 - 부자의 그릇 (2) | 2025.08.13 |
---|---|
[에세이] 김승호 - 생각의 비밀 (3) | 2025.08.10 |
[심리학 책] 전중환 -오래된 연장통 (4) | 2025.08.09 |
[심리학 책] 개리 마커스 - 클루지 (3) | 2025.08.08 |
[자기계발서] 팀 페리스 - 나는 4시간만 일한다 (5) | 2025.08.07 |